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제주4.3사건 요약 - 날짜별 사건 정리

by 리니콘 2023. 4. 11.

'제주 4.3 사건'은 한국 현대사에 있어 한국전쟁(6·25) 다음으로 인명피해가 많았던 비극적인 사건입니다. 미군정기 부터 시작하여 대한민국정부 수립까지 약 7년여간 발생한 사건을 날짜별로 분류해 보겠습니다.

 

이 글을 통해 우리의 아픈 역사인 제주 4.3 사건에 대해서 돌이켜 보고,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 보시길 바라겠습니다.

 

 

제주 4.3 사건 요약

1. 1947년 3월 1일 : 제주도 경찰의 발포, 그리고 무고하게 사망한 6명의 시민 - 3·1절 발포사건

  • 3.1절 행사 후 제주 주민들은 가두시위를 하게 되었습니다.
  • 시위대가 관덕정을 지나는 중 시위대를 진압하기 위한 기마경관에 의해서 어린아이가 치여 다치는 사건이 발생합니다.
  • 기마 경관이 다친 어린아이를 그대로 두고 지나가자 군중들은 흥분하여 돌을 던지는 등 시위가 과격해졌습니다.
  • 이때 관덕정 부근에 포진하고 있던 무장경찰이 군중들에게 총기를 발포하게 됩니다.
  • 발포로 인하여 총 6명이 사망, 8명이 부상을 입게 됩니다.
  • 사망자 중에는 국민학생(현 초등학생)의 어린아이와 아이에게 젖을 먹이던 아낙네도 있었다고 합니다.
  • 무고한 주민의 희생된 3.1 사건은 '제주 4.3 사건'의 기폭제가 됩니다.

2. 1948년 3월 5일 : '제주도 3·1 사건대책 남로당 투쟁위원회' 결성

3. 1948년 3월 10일 : 3.1 사건에 항의하여 제주도청을 기점으로 민/관 합동 총파업 단행

  • 총파업에 미국은 제주도를 '붉은 섬'으로 지정하고 도지사 및 군정 수뇌부들 모두 외지사람으로 교체를 단행합니다.
  • 충남 및 전남의 경찰병력 지원 및 극우 청년단체인 서북청년회(서청) 단원들이 제주도로 들어와 빨갱이 사냥 구실로 테러를 일삼으며 민심을 자극하게 됩니다.
  • 남로당 제주도당은 자극된 민심과 5·10 단독선거 반대 투쟁을 결합하여 무장봉기를 일으키게 됩니다.

4. 1948년 4월 3일 새벽 2시 : 남로당 제주도위원회가 주도한 무장봉기의 시작

  • 경찰과 서청의 탄압 대한 저항, 단선/단정 반대를 기치로 한 무장봉기가 시작됩니다.
  • 350명의 무장대는 12개 경찰지서와 우익단체(서북청년회 등) 인사 및 단원의 집을 습격하게 됩니다.
  • 습격으로 인하여 경찰 4명, 우익인사 등 민간인 8명, 무장대 2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합니다.
  • 성공을 거둔 무장 세력은 자위대를 해지하고 도민들을 선발하여 군대로 결성된 '인민유격대'를 조직하게 됩니다.
  • 미 군정은 병력 증강 및 본토에서 약 1,700명의 경찰을 제주도로 파견해 버립니다.

5. 1948년 4월 28일 : 미군정과 무장대의 4·28 평화 협상 체결

6. 1948년 5월 1일 : 경찰의 후원 아래 우익청년단이 제주읍 오라리 마을을 방화하는 '오라리사건 발생'

  • 경찰은 '오라리 방화 사건'을 무장대로 몰아가게 됩니다.

 

 

7. 1948년 5월 3일 : 미군의 경비대 총공격을 명령함에 따른 협상 결렬

  • 오라리 방화 사건 이후 미군은 강경진압으로 선회하게 됩니다.

8. 1948년 5월 10일 : 5·10 총선 진행

  • 제주도민과 무장대는 5·10 선거를 불참하기 위하여 한라산이나 오름에 올라가 생활하며 투표를 하지 않게 됩니다.
  • 그 결과 전국 200개 선거구 중 제주도 2개 선거구만 투표수 과반 미달로 무효 처리가 되게 됩니다.

9. 1948년 8월 15일 : 대한민국 정부 수립

  • 제주도 사태는 정부의 정통성을 의심하는 사태로 판단, 초대 이승만 정부는 제주도에 군대를 증파하게 됩니다.
  • 증파된 병력은 강력한 진압작전과 대대적인 강경 토벌 작전을 진행하게 됩니다.

10. 1948년 10월 11일 : '해안에서 5KM 이상 들어간 중산간 지대 통행자는 폭도대로 간주하여 총살하겠다'는 포고문 발표

11. 1948년 11월 17일 : 제주도 계엄령 선포

  • 군대는 중산간 마을을 초토화시키는 강경 진압을 진행합니다.
  • 또한, 해안마을로 내려간 주민들을 무장대에 협조했다는 이유와 폭도로 지목당하는 것만으로 사살하였습니다.
  • 무장대들도 해안마을을 습격, 경찰가족과 우익인사를 사살하는 과정에서 무고한 민간인이 희생되는 상황이 발생하였습니다.

12. 1949년 3월 : 산에서 내려오면 과거 행적을 묻지 않는다는 선무 공작을 통하여 1만 명이 하산

  • 하지만, 선무 정책은 약속대로 지켜지지 않고 1,600여 명이 총살당하거나 형무소로 이송되었습니다.

13. 1949년 5월 10일 : 제주도 재선거 진행 / 과반수가 넘는 선거율을 보이게됨

14. 1949년 6월 : 무장대의 상징적 존재 이덕구 살해를 시작으로 실질적인 무장대 궤멸

15 1950년 6월 25일 : 한국전쟁 발발

  • 빨갱이로 분류된 전국 교도소에 수감 중인 제주 4.3 사건 구속자들의 학살이 자행되게 됩니다.

16. 1954년 9월 21일 : 한라산 금족 지역이 전면 개방됨

 

한라산 금족 지역이 전면 개방되면서 1947년 3·1절 발포 사건을 시작하여 1948년 4·3 무장봉기로 이어진 제주 4.3 사건은 마무리 되게 됩니다. 약 7년 7개월 동안 진행된 제주 4.3 사건으로 희생된 주민의 수는 2만 5000명~3만 명으로 우리나라의 현대사 중 가장 비극적인 사건 중 하나입니다.

 

이상 제주 4.3 사건에 대해서 요약해 보았습니다. 우리 현대사의 비극인 제주 4.3 사건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 되셨길 바랍니다.

 

댓글